장성군이 최초로 본예산 6천억 시대를 맞이했다. 장성군은 20일 열린 제373회 장성군의회 제2차 정례회에서 2026년도 예산안을 6,036억 원으로 편성했다고 밝혔다. 전년 본예산 5,708억원 대비 328억 원이 증액된 금액이다.

일반회계 세출예산 중 △일반공공행정 분야는 황룡농협 구 하나로마트 대수선비 10억 원과 장성읍 행정복지센터 주차장 매입비 5억 원 등 239억 원 △공공질서 및 안전분야는 자연재해위험 개선지구 정비사업 200억 원 등 241억 원 △교육분야는 재단법인 장성장학회 출연금 14억 7천만 원 등 총 51억 2천만 원 △문화 및 관광분야는 다목적 실내체육관 건립사업 64억 원 등 총 329억 원 △환경분야는 첨단3지구 공공폐수 처리시설 설치사업 83억 등 총 526억 4천만 원 △사회복지 분야는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 78억 8천만 원 등 1,368억 원을 계상했다.

△보건분야는 신생아 양육비 지원 14억 2천만 원과 보건소 이전 신축 건립공사 9억 2천만 원 등 총 106억 4천만 원 △농림해양수산분야는 스마트농업 육성지구 조성사업 104억 4천만 원과 농업과학기술커뮤니티센터 신축공사 30억4천만 원 등 총 1,278억 2천만 원 △산업·중소기업 및 에너지 분야에는 초임계 원료의약품 생산플랫폼 구축사업 40억 원과 신재생에너지 보급 융복합지원사업 32억 8천만 원 등 총 184억 4천만 원 △교통 및 물류분야는 운수업체 유가보조금 34억 9천만 원 등 총 284억 1천만 원 △국토 및 지역개발 분야에는 장성읍 대창지구 도시재생사업 70억 원 등 총 463억 4천만 원을 계상했다.

 

3회 추경, 2회 대비 14억 증액 6,504억 원

2025년도 3회 추경예산안은 2회 추경예산안 대비 14억 원이 증액된 6,504억 원을 편성했다.

△일반공공행정 분야에서는 청년결혼축하금 3천만 원 증액, 의회 청사 신축공사비 2억 1천만 원 감액 등 총 6억 1천만 원 감액 △공공질서 및 안전분야는 지방하천 재해복구사업 보상비 반납금 23억 1천만 원 증액, 장산지구 풍수해 생활권 종합정비사업 22억 1천만 감액 등 총 5억 9천만 원 증액 △교육분야는 고교 무상지원 1억 4천만 원 증액, 원어민 보조교사 지원 2억 6천만 원 감액 등 총 3천만 원 감액 △문화 및 관광분야는 게이트볼장 시설개선사업 5천만 원 증액 등 총 8천만 원 증액 계상했다.

△사회복지분야는 부모급여 6억7천만 원 증액, 기초연금 23억 4천만 원 감액 등 총 8억 2천만 원 감액 △보건분야는 첫만남 이용권 2억 1천만 원 증액, 산모신생아 도우미 5천만 원 감액 등 총 8천만 원 증액 △농림해양수산분야는 가축분뇨 액비살포비 지원 2억 2천만 원 증액, 기본형 공익직접직불금 7억 6천만 원 감액 등 총 2억 1천만 원 증액

△산업·중소기업 및 에너지분야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원 39억 8천만 원 증액 등 총 38억 7천만 원 증액 △교통 및 물류분야는 단일요금 버스 손실보상금 6천만 원 증액 등 총 1천만 원 증액 △국토 및 지역개발분야는 청운지하차도 개설사업 12억 원 등 총 12억 4천만 원 감액 계상했다.

장성군 2025년 말 기금조성액은 94억 9천5백만 원이고 2026년 기금운용 예산액은 96억 3천4백만 원이다.

 

김 군수-민생예산 편성했다, 심 의장-필요한 곳에 쓰이도록 할 것

이날 시정연설에 나선 김한종 군수는 “장성의 미래를 준비하는 전략 예산, 군민의 삶을 지키는 민생 예산으로 편성·운영하겠다”고 강조했다.

심민섭 의장은 개회사를 통해 “예산안의 단순한 숫자 검토를 넘어 군민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목표 아래 꼭 필요한 곳에 예산이 편성될 수 있도록 동료 의원 여러분의 깊은 고민과 지혜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집행부에는 “의원들의 의견이 정책에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많은 협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의회는 21일부터 24일까지는 행정자치위원회와 산업건설위원회가 열린다. ▲재단법인 장성군 관광문화재단 출연 동의안 ▲장성군 골목형상점가 지정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등 각종 조례안과 승인안 등을 처리한다. 27일부터 5차례 열리는 행정사무감사특별위원회에 앞서 25일과 26일 행감 서류 및 현지 확인에 나선다.

2025년도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과 2026년도 예산안 및 기금 운용계획안 심사도 예정돼 있다.

저작권자 © 주간장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