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빈의 논어읽기 - 過則勿憚改(과즉물탄개)
변동빈의 논어읽기 - 過則勿憚改(과즉물탄개)
  • 변동빈 기자
  • 승인 2023.12.25 15:18
  • 호수 99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한(子罕)편에 나오는 내용으로 잘못이 있으면 고치는 것을 꺼리지 마라(過則勿憚改)’잘못이 있으면 반드시 고쳐라는 뜻이다. 공자는 위령공(衛靈公)편에서 잘못하고도 고치지 않는 것을 이를 잘못이라고 한다 (過而不改是謂過矣(과의과이불개시위과의)’라고 했다.

공자는 그가 가장 아꼈던 제자인 안연(顏淵)을 칭찬하며 그는 한 가지 일로 두 번 잘못을 범하는 일이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過則勿憚改(과즉물탄개)를 이해하려면 학이편에 나오는 전체 문장을 보아야 한다. 원문에 君子 不重則不威 學則不固 主忠信 無不如己者 過則勿憚改(군자 부중즉불위 학즉불고 주충신 무불여기자 과즉물탄개)라고 하였다.

이를 한 문장으로 풀이하면 군자가 신중하지 않으면 위엄이 없고, 배워도 단단하지 않다. 최선과 신뢰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며 나의 덕만 못한 사람을 벗하지 말며 잘못한 것은 반드시 고쳐야 한다이다.

그런데 여기서 학즉불고(學則不固)와 무불여기자(無不如己者)의 기존 해석에 다양한 의견이 있다. 학즉불고(學則不固)를 따로 떼어서 풀이할 때는 학문은 고루하지 않다또는 배움은 한 가지만을 고집하지 않는다로 풀이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는 앞 문장과 연결하여 신중하지 않으면 위엄이 없고, 배워도 단단하지 않다고 풀이했다.

논어는 공자가 직접 글로 쓴 것이 아니라 공자가 세상을 떠난 뒤 제자들의 기억에 의해 편집되었으며 여러 차례 첨삭되어 그 뜻을 온전히 전하기 어렵다.

무불여기자(無不如己者)는 대부분 나만 못한 자를 벗 삼지 말며라고 해석하고 있다. 그런데 나만 못한 자의 기준을 무엇으로 정할 것인가? 지위나 부귀는 아닐 것이다. 따라서 나의 덕만 못한 자를 벗 삼지 말라고 풀이했다. 다른 뜻으로 풀이하면 나의 가치와 길이 다른 사람과 벗 삼지 말라는 말은 아니었을까 짐작해 본다. 잘못이 있거나 잘못을 알고도 고치지 않는다면 소인배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전라남도 장성군 영천로 168 3층
  • 대표전화 : 061-392-2041~2042
  • 팩스 : 061-392-2402
  • 청소년보호책임자 : 변동빈
  • 법인명 : (주)주간장성군민신문사
  • 제호 : 장성군민신문
  • 등록번호 : 전남 다 00184
  • 등록일 : 2003-07-04
  • 발행일 : 2003-08-15
  • 발행인 : 류이경
  • 편집인 : 변동빈
  • 장성군민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장성군민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jsnews1@daum.net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