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회 창립 70주년, 천관우의 실학을 생각한다
역사학회 창립 70주년, 천관우의 실학을 생각한다
  • 장성군민신문
  • 승인 2022.11.20 23:13
  • 호수 9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관범(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교수)

지난 10월말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에서 역사학회 주관으로 제65회 전국역사학대회가 열렸다. 전체 주제는 ‘환경과 인간’이었다. 역사학계가 ‘환경’ 문제에 대한 역사적 관점의 이해를 사회에 제공할 의무가 있다는 취지에서 마련되었다. 전 지구적인 기후 위기에 대한 근심이 증폭되는 상황에서 시의적절한 주제였다고 하겠다. 

이 기간 대한민국역사박물관 1층 로비에서는 작은 전시회가 열리고 있었다. 전시회 제목은 ‘광복 이후 역사학계의 시대정신과 역사의식의 변천’이었다. 금년이 역사학회 창립 70주년이 되는 해인데, 역사학 관련 주요 학술지의 창간호를 돌아보면서 역사학의 과거와 현재를 돌아보는 자리를 제공하였다. 『역사학보』(1952), 『동방학지』(1954), 『역사교육』(1956), 『향토서울』(1957), 『서양사론』(1958) 등이 출품되었다. 

출품된 자료 중에는 제1회 전국역사학대회의 회보가 있다. 이에 따르면 이 행사는 역사학회가 진단학회와 협력하여 1958년 5월 24일과 25일 개최되었다. 첫째날 오전과 오후, 둘째날 오전은 학술 발표회, 둘째날 오후는 ‘친목 야유회’였다. 학술 발표회는 첫째날 첫 순서로 이기백의 고려 초기 병제에 관한 발표가 있었고, 둘째날 마지막 순서로 홍이섭의 한국사상사 구상에 관한 발표가 있었다. 야유회 장소는 동구릉이었다. 금년 제65회로부터 돌아보니 금석지감(今昔之感)을 느낀다.

전국역사학대회를 일으킨 역사학회는 1952년 부산에서 시작하였다. 삼일절에 맞추어 역사학자 9인의 발기문이 나왔는데 당시 소장학자 중심으로 결집하여 진단학회와 노소 조화를 이루었다. 역사학회의 젊음은 단적으로 학회지 『역사학보』 제2집과 제3집에 실린 논문 「반계 유형원 연구」가 학회 발기인 천관우의 1949년도 학부 졸업논문이라는 점에서도 확연히 드러난다.  그는 이 논문으로 ‘군계일학’의 명성을 얻었고 해방 후 ‘실학’ 연구의 개척자가 되었다.

천관우의 「반계 유형원 연구」는 문제적인 논문이었다. 논문의 서두에 나와 있지만 그의 관심사는 조선과 세계사의 접합이었다. 조선이 봉건이라면 세계사는 근대이고 따라서 양자의 접합은 근대화이다. 그는 유형원의 경세론을 반봉건의 사회사상으로 이해하고 여기에 근대 지향의 내재적 계기 또는 근대 사상의 내재적 배반이라는 의미를 부여했다. 논문의 부제에 적힌 그대로 ‘실학 발생에서 본 조선 사회’라는 큰 그림을 그리려는 의지가 충만했다.

천관우의 깊은 관심사는 근대화에 있었다. 실학은 그것의 부분적인 국면이었다. 「반계 유형원 연구」가 등재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갑오경장과 근대화」(1954)를 『사상계』에 기고했다. 그는 유형원과 갑오경장을 모두 아우르는 근대화를 생각했고, 이것이 한국사 시대구분론에 관한 발표(1967)에서 중세에서 근대로의 장기간의 과도기를 설정하는 입론의 바탕이 되었다. 

즉, 천관우의 표현대로라면 조선후기의 미숙한 근대적 요소와 일제 지배 하의 외견상의 근대적 요소, 그리고 일제 침략에 대한 저항 속에서 재정비되는 근대적 요소로 구성된 과도기의 근대화이다. 온전한 근대화는 그 후이다. 이것은 조선후기 근대맹아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의 상대화에 도움이 되는 선구적인 지혜로 평가되기도 한다. 천관우의 근대화론은 그의 복합국가론과 함께 한국사를 통찰하는 흥미로운 관점이다. (천관우의 근대화론 및 복합국가론 관련하여 각각 『한국의 자주적 근대화에 관한 성찰』(이선민, 2021)과 『동아시아 담론의 계보와 미래』(백영서, 2022)가 참조된다.)

천관우에게 조선후기 실학이란 과도기 근대화의 역사적 국면이었다. 그는 「반계 유형원 연구」 이래 「한국실학사상사」(1970)까지 계속 실학의 개념과 범위를 궁리했다. 제1회 전국역사학대회가 열린 그 해 10월 역사학회의 실학 개념 공동 토론회가 자극을 주었을 것이다. 그는 조선시대 역사 문헌의 실학 용례보다는 1930년대 조선학운동의 실학 의식을 실학 이해의 우선적인 기준으로 강조하고 실학 감별의 기준으로 근대지향의식과 민족의식의 ‘개신유학(改新儒學)’을 제시했다.

이제 근대화론의 논제는 지났다. ‘환경과 인간’이라는 오늘날의 논제는 현대 사회를 성찰하는 새로운 이해 방식의 유학(儒學)을 소환한다. 천관우가 오늘날 환생한다면 조선과 세계사의 새로운 인식을 위해 조선후기 유학사에서 무엇을 논제로 제시할까? 단, 주의할 점이 있다. 과거의 역사를 현재의 논제에 종속시키는 현재주의는 근본적으로 비역사적인 사고이다. 논제의 적용과 맥락의 복원은 서로 다른 법, 논제를 휘두르는 대신 맥락을 사유하는 실사구시의 자세가 필요하다. 실학이란 본래 그런 것이 아닐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전라남도 장성군 영천로 168 3층
  • 대표전화 : 061-392-2041~2042
  • 팩스 : 061-392-2402
  • 청소년보호책임자 : 변동빈
  • 법인명 : (주)주간장성군민신문사
  • 제호 : 장성군민신문
  • 등록번호 : 전남 다 00184
  • 등록일 : 2003-07-04
  • 발행일 : 2003-08-15
  • 발행인 : 류이경
  • 편집인 : 변동빈
  • 장성군민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장성군민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jsnews1@daum.net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