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소상공인 살릴 ‘공공배달앱’ 시동
광주시, 소상공인 살릴 ‘공공배달앱’ 시동
  • 권진영 기자
  • 승인 2021.03.07 22:32
  • 호수 86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 경기, 군산 등 사례 조사·분석 거쳐
해남군도 예산 대비 효과 고심, 쉽지 않아
주문·배달 앱 등에 상품권 연동 방안 검토
이용섭 광주시장(왼쪽에서 5번째)이 지난달 2일 오전 광주시청 비즈니스룸에서 지역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광주형 공공배달앱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용섭 광주시장(왼쪽에서 5번째)이 지난달 2일 오전 광주시청 비즈니스룸에서 지역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광주형 공공배달앱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코로나 19로 인한 영업시간 제한, 5인 이상 집합 금지 등의 방역 조치와 맞물려 일명 집콕 외식 문화가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광주광역시가 소상공인의 비용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마련한 광주형 공공배달앱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국내 배달앱 시장의 점유율 편중을 해소하고,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한 비대면 산업과 지역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들을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광주형 공공배달앱4월 시범 운영을 거쳐 7월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

광주형 공공배달앱 사업은 앱을 개발·운영하는 민간의 전문성과 지자체 지역화폐의 공익적요소가 결합된 민관 협력형으로 추진된다. ‘광주형 공공배달앱은 가입비와 광고료가 없고 중개수수료는 2%. 이 중 1%는 소비자에게 돌려준다. 최대 10% 할인 구매가 가능한 광주상생카드로도 배달앱에서 온라인 결제가 가능하다. 또한, 전통시장 장보기 기능이 탑재돼 온라인 주문·결제도 할 수 있다.

광주시는 지난해 5월부터 10월까지 서울, 경기, 군산 등 타 지자체 사례를 분석하고, 정책 토론회와 유관기관 의견수렵을 거쳐 11월 사업추진계획을 수립했으며, 1월 광주경제고용진흥원과 위·수탁 협약을, 주식회사 위메트오와는 앱 개발·운영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 시는 오는 41일부터 광주상생카드 온라인 결제, 소비자 이벤트·프로모션, 홍보 등 시범운영을 통해 소상공인과 소비자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보완해 71일 본격 운영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용섭 시장은 코로나 19로 민생은 물론 지역경제가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광주형 공공배달앱이 지역경제의 근간이자 버팀목인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들이 다시 일어서는 데 힘이 될 수 있도록 조기 정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해남군도 공공배달앱 도입 검토, 예산 대비 효과는?

지난해 3, 군산시는 지자체 최초로 공공배달앱 배달의 명수를 정식 출시했다. 당시 5,138명이던 소비자 가입자는 지난해 말 115천여 명으로 늘었다. 수수료가 없고 지역화폐 사용이 가능해 이용자의 84.1%가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도 공공배달앱 배달특급을 운영중인데 설문조사 결과 61%가 배달특급 앱 이용 계기를 지역화폐 사용때문이라고 답했다. 거제시는 지난 3일 경남에서는 처음으로 공공배달앱 배달올거제운영을 시작했다.

해남군도 공공배달앱을 검토했지만 쉽지 않은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군산시의 경우 배달의 명수개발비용 15천여만 원을 비롯해 연간 운영비로도 15천만 원 이상이 소요되고 있어, 예산 대비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 고심중이다. 이에 공공배달앱 직접 운영 외에도 수수료가 저렴한 배달·주문앱 등에 지역상품권을 연동하는 방안이 제기되고 있다. 경기도 시흥시의 경우 지역화폐인 모바일시루와 배달앱을 연계하고 소상공인의 배달수수료를 2%로 낮추는 사업을 시범실시하고 있다.

집콕 외식 문화증가로 매장을 직접 찾는 손님은 줄어든 반면 배달이 증가하면서 배달앱과 배달대행을 이용하는 소상공인이 늘고 있다. 특히 소상공인들은 코로나 19 장기화로 매출이 크게 준데다 배달앱 가입에 따른 수수료와 배달대행 수수료까지 지불해야 하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일부는 배달수수료를 소비자가 부담하도록 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 수수료가 6~15%에 달하는 민간 배달앱 대신 수수료를 낮추고 지역 화폐로도 결제할 수 있도록 연동한 공공배달앱은 이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소상공인과 주민 그리고 지자체가 상생하기 위한 대안으로 자리 잡아가는 추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전라남도 장성군 영천로 168 3층
  • 대표전화 : 061-392-2041~2042
  • 팩스 : 061-392-2402
  • 청소년보호책임자 : 변동빈
  • 법인명 : (주)주간장성군민신문사
  • 제호 : 장성군민신문
  • 등록번호 : 전남 다 00184
  • 등록일 : 2003-07-04
  • 발행일 : 2003-08-15
  • 발행인 : 류이경
  • 편집인 : 변동빈
  • 장성군민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장성군민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jsnews1@daum.net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