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일본인의 변화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일본인의 변화
  • 변동빈 기자
  • 승인 2019.07.02 10:07
  • 호수 77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계 여러 나라에서 증가하고 있는 '수상태양광 발전소'
일본 야마쿠라댐(수상태양광)
일본 야마쿠라댐(수상태양광)

<원자력 발전소 - 핵무기를 이고 사는 것>

2011311일 일본 도쿄에서 북동쪽으로 370떨어진 도호쿠 지방의 태평양 앞바다에서 발생한 9.0의 대지진과 그로 인한 쓰나미가 도호쿠 지방을 강타하였다.

이로 인하여 전원이 끊긴 뒤 비상용 발전기까지 정지되는 등 모든 교류 전원을 상실함으로써 냉각장치도 작동하지 않아서 원자로 노심을 식혀 주는 냉각수 유입이 중단되었다. 그 결과 핵연료가 용융하고 수소가 발생함으로써 3121호기에서 수소폭발이 일어난 데 이어 314일에는 3호기, 315일에는 2호기와 4호기에서 잇달아 수소폭발이 발생하면서 원자로 격벽이 붕괴되어 다량의 방사성 물질이 누출되었다.

사고 후 원전의 반경 20이내의 주민을 대피하도록 하였으며, 이 사고로 인한 경제적 피해 추정액은 최소 55045억 엔에서 최대치는 일본 정부 1년 예산의 절반에 육박하는 48조 엔(480조원, 2018년도 대한민국 예산 470조원)에 이른다.

2011년 사고 당시 일본에서는 원자력발전소 총 54기 가운데 38기가 운전 중이었으나, 2019년 현재 9기만 운전 중이다. 다른 나라들에서도 대체로 원자력 찬성 비율이 크게 줄었으며,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원자력 발전의 안전성 강화를 위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특히 독일 정부는 노후한 원전의 수명 연장 결정을 철회하고 2022년 이전까지 자국 내의 원전 17기를 모두 폐기할 것을 선언하였다

200379일 저녁. 전북 부안읍, 평온한 시골마을에 살던 주민들이 장마철에 쏟아지는 폭우를 뚫고 거리로 뛰쳐나왔다. 방사성폐기물처분장(방폐장) 자율신청기한을 5일 남기고 주민공청회가 열린 날이었다. 방폐장 유치에 반대하는 주민 2000명이 공청회가 끝나고 반대 결의대회를 연 것이다.

5일 후 부안군수와 군의회 의장은 산업자원부에 방폐장 자율유치신청서를 냈다. 군의회 동의 없이 이뤄진 일이었다. 군민 3000여명은 부안군수 퇴진을 요구하는 집회를 즉각 열었다. 이때부터 부안수협 옆 광장에는 저녁마다 촛불을 든 주민들이 몰려들기 시작했다. 20037월부터 20056월까지 열린 방폐장 관련 찬반시위는 무려 300회에 달했다. 이 기간에 구속 45, 불구속 126, 즉심 95명 등 사법처리자가 392명이나 됐다. 주민 241명과 경찰 214명이 다쳤다. 인구 6만명인 부안군에 상주한 경찰은 8000명이었다.

후유증은 오래갔다. 농민들 소득은 줄었고 상가도 철시하는 날이 많았다. 많은 주민들은 찬반 갈등으로 인해 심리적 공황상태에 빠져야 했다. 그 반목과 갈등은 수년이 지나도록 이어져 변변한 군민축제 하나 열 수 없었다.

 

<2003년 부안군이 준 교훈 - 계량기가 거꾸로 돌아요>

 

그런데 부안군은 민란에 가까운 내홍을 치른 대가로 에너지 정책의 전환을 주도하는 신재생에너지 메카로 도약했다. 우리나라 최초의 에너지 자립마을인 화정마을은 부안군에 둥지를 틀고 있다. 2012년 완공된 전국 유일의 신재생에너지단지는 총면적이 356000나 된다. 국내 최초로 수소연료전지·풍력·태양광 시설이 집적화돼 있다.

부안군 등용마을은 가톨릭 등용성당이 있는 전통적으로 가톨릭 신자들이 많은 마을이다. 2003년 부안방폐장 유치 반대에 앞장선 등용성당 신자들은 방폐장 유치를 무산시킨 뒤 제일 먼저 전기 아껴쓰기 운동과 함께 신재생 에너지 사용을 실천하기 시작했다. 햇빛발전소를 세워 마을에 집집마다 태양열발전기, 태양열온수기로 마을에서 쓰이는 전기량을 자체 생산하고 있어 에너지자립마을이 되었다.

부안군은 방폐장 유치와 관련해 찬반으로 나뉘어 발생했던 갈등과 반목이 수년 동안 지속되었다. 찬성 측은 방폐장 유치 실패로 지역발전의 기회를 놓쳤다며 반대 측을 비난했고, 반대 측은 자신들의 헌신적이고 단합된 노력으로 국가의 잘못된 정책을 철회시켰다는 강한 자긍심을 갖고 있었다.

그런데 양측의 갈등과 대립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로 부안 생태도시를 위한 주민운동으로 승화하면서 간극이 좁아지고 있다.

화정마을과 등용마을 주민 가운데는 전기료를 내는 것이 아니라 태양광 발전으로 생산한 전기를 사용하고 남은 전기는 한국전력에 팔아서 수익을 얻고 있는 가구가 적지 않다.

 

<수상 태양광 늘리는 일본>

 

20171022일 제21호 태풍 ''이 일본 열도를 강타하면서, 200여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초대형 태풍 이 일본 간토(관동) 지방을 통과한 뒤 지바현 이치하라시 야마쿠라댐의 수면을 거대한 태양광발전 패널 뒤덮고 있지만 언제 태풍이 지나갔냐는 듯 고요한 수면 위에 펼쳐진 태양광 패널 옆에서 물새들이 한가롭게 쉬고 있었다. 야마쿠라댐 태양광발전은 패널 면적이 축구장 25개 크기인 18헥타르(18, 54450), 저수지 전체의 30% 크기다. 야마쿠라댐 수상 태양광발전의 연간 추정 발전량은 약 13.7메가와트()4970가구가 쓸 전기를 만들 수 있다.

일본의 수상 태양광발전은 2011년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 뒤 일본이 재생에너지 사업을 확대하면서 시작한 노력의 하나다. 원전 사고 전에는 수면 위에까지 태양광 패널을 설치겠다는 생각을 한 이가 많지 않았다.

이 발전소의 부사업부장 노다 하루타카는 지면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면 그 토지는 다른 용도로 이용하기 어려워지지만 수면은 그렇지 않다. 또한 물의 증발량이 줄어서 녹조 증가가 억제되는 부수적 효과도 있다고 말했다.

노다 부사업부장은 야마쿠라댐 태양광발전은 농촌 저수지의 이용 가능성을 보여준다고도 했다. 농촌의 축소로 농업용수 공급이라는 역할이 줄어든 저수지를 활용할 길이 열린다는 것이다.

일본은 2003년 일본의 미래를 디자인하는 100년 후의 일본을 제안하였다. 여기에는 다양한 자연에너지를 활용하여 석유 대체 연료로 전환하고 가축의 분뇨를 이용하여 메탄가스 전력을 생산하며 풍력과 태양광을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사용을 크게 늘린다는 것이다.

더구나 우리나라는 국토가 좁아서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서도 지금까지 해왔던 산림이나 육지보다 수상에 태양광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연구논문이 계속되고 있다.

 

<태양광 관련한 가짜뉴스들>

 

지난달 25일 장성군의회 정례회 산업건설상임위에서 K모의원이 수상태양광은 1년에 한번 모듈 청소를 위해 강한 세척제를 사용한다고 하는데 이로 인한 환경오염이 우려된다. 그런데도 태양광 설치 허가를 내 줄 것인가라고 질의했다.

사실 '태양광 패널이 중금속 덩어리'라거나, '패널을 세척할 때 사용되는 세제가 수질과 토양을 오염시킨다'는 왜곡된 정보는 대부분 사실과 거리가 먼 가짜뉴스다.

태양광 패널에 먼지가 쌓이면 전기생산량이 줄어드는 것은 사실이지만 패널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고는 세척하지 않으며, 세척을 하더라도 세제가 사용되지 않고 물을 이용한다. 더구나 여름 장마 등 강수량이 많은 우리나라의 경우 비로 인해 태양광 패널 세척주기가 더 여유가 있는 편이다. 실제로 유럽과 미국의 공식 가이드라인도 물로 세척하라고 명시돼 있으며 특수코팅돼 있는 패널은 물로도 쉽게 오염물질 제거가 가능하다.

또한 태양광 패널의 모듈은 밀폐되어 있으며 표면에는 유해성분이 없다. 더구나 태양광 패널에 사용되는 모듈의 주성분은 실리콘(규소)이며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은 사용되지 않는다. 규소는 모래와 성분이 거의 같다.

빛반사로 인한 피해가 있다고 주장한다. 물론 빛을 반사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런데 태양광 모듈은 빛을 흡수해서 전기를 생산해야 하기 때문에 빛을 반사하지 않기 위해 특수 코팅을 한다. 따라서 태양광을 설치하기 전인 자연의 수면 빛 반사율보다 반사광이 적다.

가축은 물론 농업에도 피해가 간다는 주장도 있다. 그런데 많은 축사 지붕에 태양광을 설치하였지만 이로 인한 피해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건국대학교와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은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설치된 200기의 태양광 발전소를 대상으로 발전소 주변 74개 축사와 인근 지역에 대한 일조량, 자외선, 대기 온습도, 가축 체중변화 및 스트레스 호르몬 검사 등을 조사하였으나 일반지역과 특이한 사항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이 태양광과 관련된 피해주장은 대부분 가짜뉴스이거나 근거가 없는 일방적 주장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다음호에 이어집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전라남도 장성군 영천로 168 3층
  • 대표전화 : 061-392-2041~2042
  • 팩스 : 061-392-2402
  • 청소년보호책임자 : 변동빈
  • 법인명 : (주)주간장성군민신문사
  • 제호 : 장성군민신문
  • 등록번호 : 전남 다 00184
  • 등록일 : 2003-07-04
  • 발행일 : 2003-08-15
  • 발행인 : 류이경
  • 편집인 : 변동빈
  • 장성군민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장성군민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jsnews1@daum.net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