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풍경 앞에서 가장 큰 슬픔에 젖다
아름다운 풍경 앞에서 가장 큰 슬픔에 젖다
  • 변동빈 기자
  • 승인 2016.02.29 10:38
  • 호수 6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구려인의 기상은 어디에 가고...
철조망 너머 애끊는 부르짖음만 들리는 듯

<장성에서 기차를 타고, 러시아로 여행하는 꿈을>

두만강 철조망 건너로 보이는 함경북도 무산군의 작은마을, 마을 앞에 철도가 지나간다.
중국의 동북 3성이라고 불리는 길림성(지린성), 흑룡강성(헤이룽장성), 요녕성(랴오닝성)그리고 러시아 연해주는 우리의 조상인 고구려인이 살던 땅이었다.
우리나라 동포들이 살고 있는 곳도 중국에선 동북 3성 그리고 러시아에선 연해주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연길(지린, 연변)에서 승합차를 타고 훈춘시까지 한 시간 반 정도를 달렸다. 훈춘시는 인구 30만명 정도의 도시로 러시아와 북한과의 무역을 통해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업 도시다.
지하자원이 풍부하고, 기계와 공업이 발달한 도시며 특히 석탄은 어디서나 채취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널려있다.
연길시가 한국어와 중국어를 함께 사용하는 곳인데 비해 훈춘시는 간판에서도 중국어와 한국어 그리고 러시아어를 함께 사용하고 있다.
훈춘시에서 승합차로 30여분을 달려 중국과 북한 그리고 러시아 3국의 국경이 접해있는 방천(防川)에 도착했다. 방천은 중국에서 두만강 둑에 도로를 만들어 동해안 가까이에 있는 방천풍경구(防川風景區)까지 이어졌다.
중국에 가면 입장료 때문에 화가 난다고 한다. 9층 높이의 전망대를 짓고 이곳에 들어가는 입장료로 70위안(1만4천원)을 받고 있었다. 
전망대에 오르면 동해바다와 중국, 러시아 연해주 그리고 북한 땅이 한 눈에 들어온다. 신의주에서 연해주 블라디보스크로 이어지는 열차가 지나는 곳이 바로 이 곳이다. 마침 북한에서 중국으로 가는 화물열차가 지나고 있었다.
감회가 새로웠다. 가만히 눈을 감고 장성에서 기차를 타고 서울과 평양을 지나 신의주를 거쳐 이곳에서 동해바다를 보며 러시아로 여행을 가는 통일된 한반도를 그려보았다.

<한 덩어리 땅은 한 덩어리의 금이다>
방촌에 도착했을 때 일촌지지 일촌지지(一寸之地 一寸之金)이라는 문구가 새긴 간판을 보았다. ‘한 마디의 땅은 한 마디 금’이라는 말인데 3국 접경지에 도착해서야 이 말이 실감났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와 가장 넓은 땅을 가지고 있는 중국이 동해 바다로 진출할 수 있는 땅이 없기 때문이다.
중국은 북한의 나진항을 100년 동안 임차하였고, 북한은 나진, 선봉지역을 자유무역지구로 지정하여 중국의 동북 3성에서 생산되는 공산품과 농산물을 동해를 통해 수출입할 수 있게 하였다.
방촌에서 해안으로 폭 2km의 땅만 있다고 해도 중국은 동해를 통해 운송할 수 있는 물류를 자유롭게 무역할 수 있지만 북경에서 멀고, 춥고 박한 땅이라고 버려 둔 것이 통한이 될 줄은 몰랐던 것이다.
그나마 1886년 중국의 하남`하북 좌부도어사 등을 지낸 오대징(吳大澂)이란 인물이 지금의 방천지역까지 중국의 영토로 삼는다는 러시아와의 조약을 맺어 훈춘이 러시아와 북한의 무역 중심도시가 되는 계기를 만들었다.
당시 세워진 토자패(土字牌)가 남아있어 국경의 이정표가 되었다.

<팔을 뻗으면 손이 닿을 듯한 우리 땅>

신의주에서 블라디보스토크로 연결되는 철길. 그너머로 동해바다가 보인다.
두만강은 백두산이 시원지로 길이만도 500km가 넘는다. 서울에서 부산가는 거리보다 먼 셈이다.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우리의 땅 북녘과 중국의 국경을 이루고 있다.
원광대학교 문화재수복학과에서 박사과정을 하고 있는 박모 원불교 교무는 “남한과 중국이 수교되기 전까지는 두만강에서 중국교포(조선족) 아이들과 북한의 아이들이 함께 멱을 감고 놀기도 했다”고 한다.
지금은 중국 쪽에서 가시철망을 막아 허가받지 않은 일체의 왕래를 금하고 있다.
훈춘시 근교 두만강에 북쪽으로 연결되었던 다리가 6.25전쟁 때 유엔군에 의해 폭파되어 지금도 끊어진 채 남아있다.
중국에서 인민군과 군수품이 북한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다리를 폭파했다고 하는데 폭파된 다리 중간은 겨우 10m 내외로 멀리 뛰기를 하면 금방이라도 북녘 땅으로 건널 수 있을 것 같았다.
여름이면 북측의 초소를 지키는 병사들이나 아이들과 대화도 할 수 있고, 옥수수나 음식을 던져 주기도 한다고 들었다.
북한과 중국 사이에 놓여졌던 끊어진 다리와 강가에 길게 설치된 가시철망 사이로 정월 대보름달이 서글프게 떠오르고, 신선이 내려올 듯한 아름답고 꿈같은 풍경에서 가장 서글픈 현실을 떠올려야 했다.

<기다림과 인내를 배우다>

함경북도 온석와 중국 훈춘시 접경지역 유엔군이 폭파한 다리가 그대로 남아있다.
연길공항까지 가는 2시 30분 비행기를 타기 위해 우리 일행 네 명이 인천공항에 도착한 것은 낮 12시가 되기 전이었다.
그런데 일행 중 한사람의 비행기 좌석이 발권이 되지 않았다. 여권에 있는 영문 이름과 여행사를 통해 예약한 이름 가운데 영문 O자와 U자가 달랐기 때문이다.
토요일이라 여행사는 물론 중국의 남방항공에서도 이를 수정해줄 사람과 연락이 닿지 않았다.
발권 마감이 끝나고 오후 1시 40분이 되자 좌석을 발권하여 겨우 입국심사를 마치고 비행기에 탑승했다. 아침을 빵과 커피로 대신한 우리는 점심도 굶은 채 겨우 비행기를 탄 것이다.
장성 출신 향우 기업인이 운영 중인 공항 면세점 시티플러스에 들러 보기로 했던 우리의 계획은 겨우 비행기를 타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두 시간 반을 지나 도착한 연길 공항은 벌써 어둠이 드리워지기 시작했다.
그런데 출국 수속을 하던 중에 일행 한사람이 중국 공안에게 연행되었다. 한 달여 전 신장위구르 자치구를 방문한 것이 문제였다.
신장위구르 자치구는 중국에서 독립을 추진하고 있어서 중국인의 여행을 금지하는 나라이기 때문이다. 위구르에 무슨 일로 방문했는지 등을 캐물은 공안이 신분을 확인하고 입국을 허가해 주었다.
호텔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해사 저물었다.
연길에서 가장 좋은 호텔이라고 하는 국제호텔에 예약을 하고 사흘 동안 묵을 비용을 지불했는데 호텔에선 그건 보증금이지 숙박비가 아니라고 숙박비 지불을 요구했다.
할 수 없이 숙박비를 지불하고 사흘을 묵었는데 문제는 체크아웃을 할 때였다. 숙박비를 따로 지불했으니 한국에서 이미 지불한 보증금을 되돌려 달라고 요구하자 직원들이 돌아가며 대답을 하지 않는 것이었다.
호텔 지배인을 부르고, 다시 계산을 하는 동안 거의 한 시간 이상을 로비에 서서 실랑이를 벌여야 했다. 여행사를 통하지 않고, 떠난 중국 여행은 그만한 대가를 치러야 했다. 


중국교포들이 보는 대한민국

1980년 중반까지만 해도 북한과 중국은 국경을 자유자재로 넘나들며 밀수와 밀매가 성행했다고 한다.
두만강에서는 중국교포(조선족)와 북한의 어린이들이 함께 멱을 감고 놀았고, 중국교포가 북한 땅을 밟지 않고, 북한 어린이들이 중국 땅을 밟지 않으면 불법이 아니라며 웃고 장난을 쳤다고 한다.
80년대 후반부터 한국과 중국의 냉전 분위기가 사라지고 마침내 1992년 한중 수교가 이루어진 뒤로는 두만강에 철조망이 처지고, 허가되지 않은 북한과 중국의 왕래가 엄격히 금지되었다고 한다.
교포들은 30년 전 까지만해도 북한에 사는 형제자매들이 연길에 와서 옷과 먹을 것을 나누어 가지며 왕래를 했는데 지금은 편지조차도 주고받는 것이 어렵다고 했다.
20~30년 전까지만 해도 연길에 사는 우리 교포들은 북한과 더 교류가 많았고, 북한과 가까웠었다.
하지만 지금 연길에 살고 있는 우리 교포들은 북한보다 남한과 교류는 물론 여러 가지로 훨씬 더 가깝게 지내고 있다. 무엇보다 중국교포 가운데 젊은 사람들은 대부분 교포비자를 얻어 남한에 들어와 살고 있다. 심지어 교포 자녀들이 초등학교부터 남한에서 교육을 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연길을 비롯한 용정시, 훈춘시 등에 살고 있는 교포들 가운데 젊은 사람들은 눈을 씻고 봐도 없을 정도다. 거의 한국으로 돈을 벌기 위해 떠났다고 했다.
호텔에서는 한국방송(KBS)이 실시간으로 방송되고 있고, 연길공항에서는 한국으로 오가는 비행기가 하루에도 서너 편 이상이 될 정도다.
그런데 중국에서 만난 교포들은 한 결 같이 한국의 정치상황에 대해 염려와 함께 불안감을 떨치지 못했다. 가장 먼저 비판한 것은 남한의 개성공단 철수였다.
“독일도 통일을 했는데 같은 민족끼리 분단되어 총을 겨누고 있는 나라가 어디 있다는 말이냐? 그런데 남북이 서로 돕고 화합하지는 못할망정 서로 손해를 보는 일을 너무 쉽게 결정해버렸다”고 애통해했다.
윤동주 생가를 방문했을 때 안내를 해주던 교포는 한 달 전 서울에 다녀갔다는 얘기와 함께 “전쟁이 일어나면 핵무기와 장거리 미사일이 아니라 북측이 휴전선에 배치한 장사정포로 서울은 폐허가 될 것”이라며 “어떤 대가를 치르고라도 전쟁만은 막아야 하는데 현 정부가 갈등과 대립을 부추기고 있다”고 염려했다.
남한과 북한의 경제는 이미 30~40배 이상의 차이가 있고, 군사비 지출은 남쪽이 북쪽보다 10배 가까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수십 년 동안 남한이 북한에 비해 어마어마한 군사비를 지출하고도 미국에 의존해야만 국민의 안위를 보장한다면 지금까지 역대 국방장관과 고위 장군들은 무엇을 했다는 말인가?
앞에서 말한 교포는 북한이나 중국이라면 대부분이 숙청 또는 처형되었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우리 교포들은 북한의 광명성 발사나 핵개발은 남한을 목표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미국과 일본을 겨냥한 것으로 미국이 북한을 침략하지 않는다는 보장을 얻기 위한 몸부림이라고 믿고 있었다.
지난해 북한과 미국은 평화협정 체결과 핵폐기 등을 논의했고, 이러한 사실을 남한은 까마득히 모르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한반도에서 다시는 전쟁이 발발하지 않도록 우리 정부가 더욱 차분하고 이성적인 대처를 하도록 우리 교포들은 간절히 원하고 있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전라남도 장성군 영천로 168 3층
  • 대표전화 : 061-392-2041~2042
  • 팩스 : 061-392-2402
  • 청소년보호책임자 : 변동빈
  • 법인명 : (주)주간장성군민신문사
  • 제호 : 장성군민신문
  • 등록번호 : 전남 다 00184
  • 등록일 : 2003-07-04
  • 발행일 : 2003-08-15
  • 발행인 : 류이경
  • 편집인 : 변동빈
  • 장성군민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장성군민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jsnews1@daum.net
ND소프트